Mountain/BAC 100대 명산 15

[BAC 100대 명산] [015] 수락산 2025. 3. 22. 토

여유로운 주말, 서울 근교의 산으로 떠났다. 원래는 경의중앙선을 타고 양평 용문산을 갈 계획이었지만, 늦잠을 자는 바람에 급하게 수락산으로 선회했다.수락산 등산 코스는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최단거리를 자랑하는 석림사 코스를 택했다. 7호선 장암역에 내려서 1km 정도를 걸어가면 석림사가 나온다. 장암역에서 수락산을 바라보면, 저기를 오늘 안에 오를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덜컥 든다.3월답지 않게 따듯한 날이 계속되는 한 주였다. 주말까지 따듯하다. 오후 2시 반에 시작하는 느긋한 산행 길이 봄날의 햇살로 더욱 느긋하다.대동소이한 몇 가지 코스가 있는데, 어차피 별 차이가 없어서 그냥 길 따라 올랐다. 결국에는 1-1 코스, 깔딱고개 지나는 코스를 지났다.석림사를 지나고 500m 정도를 더 간 지점..

[BAC 100대 명산] [014] 관악산 2025. 3. 15. 토

토요일에 서울대 교수회관에서 결혼식이 있었다. 오전 예식이라 결혼식 마치고 윗공대 뒷길로 해서 연주대를 빠르게 찍고 내려오기로 했다. 미리 차에 등산화와 등산복을 챙겨두어서 출발했다. 관악산 등산은 이미 수 차례를 했지만 윗공대 뒷길로 하산한 적은 있었어도 오른 적은 처음이다.윗공대 뒷길 코스는 초입의 간이화장실이 유일한 화장실이다. 볼 일은 미리 보고 오를 수 있도록 하자.3월 둘째 주인데도 날씨가 유독 따듯했다. 반팔에 바람막이만으로 가볍게 오르는 등산길. 벌써 계곡이 졸졸 흐르는 것이 한껏 완연한 봄기운을 드러낸다.하지만 볕이 들지 않는 음달에는 마지막 겨울의 흔적이 또렷하다. 많이 추웠던 이번 겨울을 돌이켜보게 한다.연주대까지는 총 1.8km 밖에 안 되는 짧은 거리이지만, '악'산 답게 만만하지..

[BAC 100대 명산] [013] 파주 감악산 2025. 2. 9. 일

이번 주는 정말 몹시 추운 한 주였다. 그래도 주말부터 날이 좀 풀리길래, 일요일에 찌뿌둥한 몸을 이끌고 등정에 나섰다. 13번째 오를 산은 파주의 감악산으로 정했다. 2023년 1월에 이미 한 번 오른 전력이 있는 산인데, 그때는 BAC 인증을 안 하던 때여서 인증 목적으로 다시 오르기로 했다. 한 가지 또 다른 게 있다면 2년 전 등정 때는 임꺽정봉을 경유해서 오르는 코스였는데, 이번 등정은 출렁다리를 지나 범륜사를 거쳐 오르는 코스라는 점. 임꺽정봉 경유 코스는 제설이 잘 안 된 길이라 매우 고되었던 기억이 난다. 이번 코스는 그에 비하면 훨씬 완만하고 편했다.네이버로 미리 봐둔 손두부집에서 등정 전에 배를 든든히 채운다.11,000원 손두부 정식에 반찬이 너무 많아서 황송할 지경이었다. 두부 맛도..

[BAC 100대 명산] [012] 천안 광덕산 2025. 1. 26. 일

승봉도 사태 이후 이제 몸이 많이 회복되었다. 12월부터 러닝을 꾸준히 했는데, 조금 더 고강도의 운동을 해도 되는 상태라고 판단했다. 부상으로 반년 정도 쉬었던 100대 명산 프로젝트를 재개하기로 마음 먹었다. 그 선택은 천안의 광덕산이다.차로 2시간을 달려서 광덕산 입구에 도착했다. 순대국밥으로 든든하게 배를 채우고 등산을 시작해본다. 광덕사 주차장에서 광덕산 정상으로 오르는 코스가 가장 일반적이고 또 최단 코스이기도 하다. 정상을 오르고 나서는 장군바위를 경유해서 하산하는 코스도 있기는 하지만, 오랜 공백으로 체력이 많이 약해진터라 등산 코스 그대로 하산하는 루트로 결정하였다. 다행히 날이 따듯해서 아이젠은 필요 없었다.광덕사는 생각보다 규모가 있는 절이었다. 건물도 많고 깔끔하게 관리가 잘 되어 ..

[BAC 100대 명산] [011] 동두천 소요산 2024. 8. 15. 목

맑은 하늘을 보기 힘들었던 고된 7월의 장마와 역대급으로 기억될 8월의 무더위 때문에, 거의 2달 정도 등산을 쉬었다. 광복절 연휴를 맞이하여 오랜만에 등산의 느낌을 되새기고 다시 100대 명산 프로젝트를 본격 재가동할 겸하여 소요산을 다녀왔다.소요산은 서울에서 1호선으로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어서 좋다. 동두천까지 거리가 좀 있긴 하지만, 쾌적하게 올 수 있었다. 3시 반 정도에 도착했고, 무더위는 여전했다. 늦은 오후여서 그런지 등산객이 많지는 않았다.멀리는 선녀탕까지 찍고 돌아오는 코스도 있지만, 이번 산행은 공주봉을 거쳐 의상대를 찍고 하산은 샘터하산로 코스로 오는 짧은 코스를 택했다. 돌이켜 하는 후회이지만, 하산도 그냥 공주봉으로 했어야 했다...센터까지는 아스팔트로 포장된 도로라서 걷기에 부..

[BAC 100대 명산] [010] 제주 한라산 2024. 6. 4. 화

백수가 된 6월이다. 시간 여유가 많은 김에 멀리 있는 산을 오르기로 했다. 바로 제주도의 한라산이다. 2022년 가을 아빠와 함께 백록담을 올랐었지만, 그때는 블랙야크를 알기 전이라 GPS 인증을 안 했다. 이번 참에 확실히 GPS 인증을 하기 위해 제주 여행의 시작을 한라산으로 정했다.김포에서 제주로 가는 비행기를 타고 절반쯤 왔을 때 아래를 내려다보니 몇주 전 들렸던 고군산군도가 펼쳐진다. 장자도와 관리도, 방축도, 신시도. 고즈넉하고 아름다운 섬이었다.이렇게 예쁜 구름 무리도 볼 수 있었다.게스트하우스에 체크인을 하고 간단히 저녁을 먹고 근처 서점에 들려 책을 한 권 샀다. 내일 일찍 일어나야 하므로 오늘은 빨리 잠을 청했다. 아침에 일어나 숙소 근처의 꽈배기 가게에서 꽈배기를 5개 샀다. 한라산..

[BAC 100대 명산] [009] 홍천 팔봉산 2024. 5. 15. 수

홍천 여행 둘째날, 조식으로 라면과 커피를 줘서 간단하게 요기를 하고 바로 팔봉산으로 출발하였다. 글램핑 사이트에서 팔봉산까지는 차로 15분 거리여서 금방 갈 수 있었다. 날이 좋아서 팔봉산 앞을 흐르는 홍천강에 가족 단위 여행객들이 꽤 많았다. 아직 봄이라 완전히 물에 들어가는 사람들은 없었고, 발목 정도까지만 들어가서 놀고 있었다.팔봉산은 3가지 코스가 있는데, 가장 높은 2봉을 빠르게 탐방하고 하산할 수 있는 A코스를 택했다. 오후부터 비 소식이 있어서 오전 중으로 등산을 마칠 요량이었다.제법 유량이 있는 홍천강이다. 재작년 12월에 팔봉산을 오르려 찾아왔다가 겨울철 입산 통제라 아쉽게 발걸음을 돌렸던 기억이 난다.다른 산에서는 잘 보이지 않던 희한한 풀이다. 산마다 지역마다 조금씩 다른 식생을 알..

[BAC 100대 명산] [008] 홍천 가리산 2024. 5. 14. 화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며 1박 2일 짧게 홍천 여행을 다녀왔다. 여행을 빙자한 극기훈련이긴 했다. 첫날에 다소 높은 가리산을 오르고, 둘째날에 팔봉산을 오르는 일정. 가리산 가는 길에 블루리본을 받은 막국수 가게에서 점심을 먹었다.양념장과 메밀면 그리고 간단한 고명만 오른 막국수인데, 맛이 기가 막혔다. 블루리본은 역시 아무나 받는 것이 아니다.편육도 한 접시 시켰는데, 편육이라기보다는 보쌈에 가까운 두툼한 고기였다. 새우젓을 찍어 마늘과 함께 먹는 맛이 훌륭했다.든든히 배를 채우고 본격적인 가리산 등정을 나서본다. 두시 정도가 된 시각이어서 볕이 제법 따가웠다. 가리산 정상까지 가는 루트로는 가리산 휴양림에서 시작하는 코스가 가장 보편적이다.성인 남성 기준 3시간 30분 정도 소요되는 왕복 등산로인데..

[BAC 100대 명산] [007] 변산 관음봉 2024. 5. 11. 토

선유봉과 월영봉 두 봉을 올랐지만, 체력이 아직 충분했고 성에 차지 않았다. 내친 김에 군산에서 그리 멀지 않은 변산으로 향했다. 관음봉을 다시 오를 예정이었다. 내변산의 관음봉은 2023년 2월에 이미 올랐었지만, 그때는 산림청 기준 100대 명산 등정을 한 것이라 따로 GPS 인증을 안 했었다.새만금 방조제를 따라 차로 이동하니 30여분만에 내소사에 도착할 수 있었다. 부처님 오신 날이 머지 않아서인지 내소사를 찾은 객이 꽤 많않다.등정을 시작한 때가 이미 3시여서 내소사 관람은 과감히 포기하고 바로 등정으로 나아갔다.저번에 변산을 오를 때에는 볕이 들지 않는 음달에는 얼음이 가득 했었는데, 이제는 완연한 봄기운으로 뒤덮인 변산이다. 오늘도 역시 직소폭포는 못 가고 관음봉까지만 빠르게 다녀오는 여정이..

[BAC 100대 명산] [006] 부산 금정산 2024. 5. 4. 토

짧은 연휴를 맞아 부산으로 여행을 떠났다. 이번 부산 여행의 포인트는 부산 지역의 명산과 섬의 봉우리를 돌아보는 것이다. 금정산은 2023년 2월에 이미 한번 등정을 하였지만, 블랙야크 GPS 인증을 위해 다시 한번 올라야 한다. 연휴라 기차 잔여석이 없어서 겨우 고속버스를 예매하고 오후 늦게 노포 부산 종합터미널에 도착했다. 우선 부산의 명물 물떡으로 가볍게 요기를 한다. 매우 정직한 물에 불린 가래떡 맛이다.범어사에서 시작하는 최단 코스로 등산로를 정했다. 등산을 시작할 때가 이미 4시반이라 서둘러야 하는 상황이다. 범어사는 부처님 오신 날 행사 준비로 분주했고 사찰을 찾는 손님들도 많아 보였다. 범어사 옆으로 난 포장도로를 따라 우선 걷는다.범어사 입구에서 고당봉까지는 약 3km이다. 저번 등정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