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tness/License

2022 생활체육지도사 구술 빈출 질문 정리 - 5. 운동 생리학

무소의뿔 2022. 6. 19. 08:22

1. 운동이 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하시오.

운동은 뼈를 자극하여 골밀도를 증가시킨다. 뼈가 튼튼하면 뼈의 기능 또한 좋아져 무기질 저장 및 공급, 조혈 작용이 원활해진다.

또한 뼈의 끝에는 성장판이 있는데 성장기 운동을 통해 성장판을 자극하면 키가 자라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무리한 운동은 뼈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적당한 운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2. 근육의 종류에 대해 설명하시오.

1) 골격근: 인체의 움직임을 관장하는 근육으로 우리의 의지대로 수축할 수 있는 수의근이며 가로무늬의 형태로 되어 있다.

2) 심장근: 심장과 심장 주변 혈관에 국한되며, 평활근과 같은 불수의근이고 가로무늬의 형태로 되어 있다.

3) 내장근(평활근): 소화관 벽이나 혈관벽과 같은 유강성 장기를 둘러싸고 있으며, 불수의근이고 민무늬의 형태로 되어 있다.

 

3. 근섬유의 종류에 대해 설명하시오.

1) 지근: 적근이라고도 하며, 굵기가 가는 운동 신경에 연결되어 있다. 수축 반응이 느리고, 운동 강도가 낮은 신체 활동에 사용되며, 쉽게 피로해지지 않는다.

2) 속근: 백근이라고도 하며 굵은 운동 신경에 연결되어 있다. 수축 반응이 빠르고, 운동 강도가 높은 신체 활동에 사용되며, 피로가 빠르다. 속근 섬유는 피로에 저항하는 능력에 따라 다시 두 종류로 세분화된다.

 

4. 주동근과 길항근에 대해 설명하시오.

 주동근은 운동 부위에 직접적으로 움직임을 일으키는 근육을 말한다.

 길항근은 주동근의 반대로 움직임을 느리게 하거나 정지시키는 근육을 말한다.

길항근은 관절을 안정시키고, 움직임이 빠른 후반부에 팔다리의 속도를 늦춰 동작을 잘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5. 근수축 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액틴과 미오신 근세사가 모여 근섬유를 만들고, 이들이 모여 근육을 이루고 있다.

 근육을 수축하라는 신호가 오면 액틴과 미오신이 서로 끌어당겨 근세사의 길이가 짧아지고 근섬유가 수축하게 되는데 이들이 동시에 작용하기 때문에 근수축이 일어나게 된다.

 

6. 근육의 세 가지 수축 형태를 말하시오.

1) 등장성: 근육의 길이에 변화가 있으면서 근력이 발휘되는 수축을 말한다. (덤벨 컬, 스쿼트)

2) 등척성: 근육의 길이 변화가 없으면서 근력이 발휘되는 수축을 말한다. (벽밀기)

3) 등속성: 근육의 이완과 수축이 같은 힘으로 이루어지는 수축을 말한다. (재활 시 사용)

 

7. 근력 운동의 두 가지 종류에 대해 설명하시오.

1) 정적 운동: 움직임 없이 근력을 발휘하는 것 (Ex. 등척성 운동)

2) 동적 운동: 움직이면서 근력을 발휘하는 것 (Ex. 등장성 운동)

 

8. 단축성 수축과 신장성 수축에 대해 설명하시오.

관절의 각도에 변화가 생기면서 근육이 짧아지거나 길어지는 등장성 수축에는 단축성 수축과 신장성 수축이 있다.

1) 단축성 수축: 근육의 길이가 짧아지며 수축하는 운동이다.

2) 신장성 수축: 근육의 길이가 길어지며 수축하는 운동이다.

 

9. ATP-PC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시오.

강한 근력 운동 시 에너지는 빠르게 고갈되고, ATP는 근수축에 필요한 에너지를 방출한다.

하지만 근육 속에 저장되어 있는 ATP의 양은 아주 소량이므로, ATP는 ADP + Pi 로 분해가 되고 PC가 C + Pi로 분해되면서 ADP + Pi를 ATP로 재합성한다.

이때 ATP의 양은 최대 운동을 할 때 1 ~ 2초 동안, PC는 약 6 ~ 8초 후에 고갈된다.

 

10. ATP(아데노신삼인산)에 대해 설명하시오.

생물의 세포가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에너지원으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이 산소를 만나 ATP를 생성하여 생명 활동에 이용한다.

 

11. 에너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시오.

인체가 신체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필요하다.

에너지는 일이나 활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근육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학적 에너지는 ATP이다.

이 ATP를 재합성하여 에너지로 사용하는 (1) ATP - PC 시스템과 (2) 젖산 시스템의 무산소 과정이 있고, (3) 유산소 시스템의 유산소성 과정이 있다.

 

12. 젖산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시오.

ATP 시스템에 의한 에너지 고갈 후 근육과 간 속에 있는 글리코겐을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글리코겐은 해당 과정을 거쳐 피루브산으로 분해되면서 ATP를 생성하고 이때 산소가 불충분하면 젖산으로 전화되며 젖산 시스템으로 들어간다.

젖산 시스템은 ATP - PC 시스템 다음으로 빠른 속도로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고, 글리코겐의 최종 부산물인 젖산이 축적되어 근육에 피로와 고통을 초래한다.

1 ~ 3분 사이 최대의 노력으로 행하는 운동의 경우 젖산 시스템이 주로 사용된다.

 

13. 유산소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시오.

유산소 시스템은 산소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만드는 시스템이다.

운동 시 산소가 충분히 공급될 경우 글리코겐이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면서 ATP를 생성하고 젖산의 축적을 막으면서 ATP를 생성하므로 주로 장시간 운동에 사용된다.

 

14. 스포츠 심장에 대해 설명하시오.

스포츠를 통해 단련된 사람의 심장으로, 심장 근육이 두꺼워져 심장에서 혈액을 내보내는 능력이 좋아 낮은 심박수로도 충분한 혈액 공급이 가능하다.

 

15. BMI에 대해 설명하시오.

체질량 지수로 신장과 체중의 비율을 나타낸다. 근육과 지방의 무게를 구분하지 않아 근육량이 많은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