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tness/License

[필기 시험 공부 - Day2] 한국체육사

무소의뿔 2022. 4. 24. 14:25

1. 체육사의 의미

▶ 체육과 스포츠를 역사적 방법으로 연구하는 학문

 

2. 선사/삼국시대

▶ 부족국가의 제천행사: 고구려 - 동맹 / 부여 - 영고 / 동예 - 무천 / 신라 - 가배 / 삼한 - 계절제 / 마한 - 10월제

신라: 화랑도 / 세속오계 / 편력 / 불국토 사상 / 국학

▶ 고구려: 태학 / 경당

▶ 백제: 박사

▶ 삼국시대의 무예: 기마술 / 궁술 / 방응 / 수박 / 마상재

▶ 삼국시대의 민속스포츠와 오락: 석전 / 방응 / 각저(씨름) / 격구 / 널뛰기 / 축국 / 투호 / 저포(윷놀이) / 위기(바둑) / 마상재 / 수박 / 풍연 / 추천(그네뛰기) / 쌍륙

▶ 삼국시대의 체육사상: 심신일원론 / 신체미 숭상 / 국가주의 / 불국토 사상

 

3. 고려/조선시대

고려시대의 교육기관: 국자감, 향학, 동서학당, 사학 12도

고려시대의 무예: 기마술, 궁술, 수박

고려시대의 민속스포츠: 귀족 체육 (격구, 투호, 방응) / 서민 체육 (석전, 추천(그네뛰기), 축국(제기차기))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성균관, 육일각(궁술), 대사례(활쏘기 의식) / 훈련원 / 사정 / 육예 (예, 악, 사, 어, 서, 수) / 활인심방

조선시대의 무과: 시취 / 초시 - 복시 - 전시 (최종 28인 선발) / 활쏘기, 격구 / 무예제보(1598), 무예신보(1759), 무예도보통지(1790)

조선시대의 민속스포츠: 귀족 체육 (궁술, 격구, 수박, 봉희, 편사) / 서민 체육 (석전, 추천, 초판희(널뛰기), 도색희(줄넘기), 인색희(줄다리기), 투호)

 

4. 한국 근/현대

개화기의 교육: 원산학사 / 배재학당 / 광혜원 / 언더우드학당 / 이화학당 / 교육입국조서(1895, 지덕체) / 오산학교, 대성학교

개화기의 체육: 화류회(최초의 운동회, 1896) / 회동구락부 / 황성 기독교 청년회 / 대한 체육 구락부(최초의 근대적 체육 친목 단체, 1906) / 황성기독 청년회 운동부 / 대한 국민 체육회 / 대동 체육 구락부 / 체조연구회

일제강점기의 학교체육: 학교체조교수요목(1914) / 문화통치기에 체조 중심에서 유희와 스포츠 중심으로 변화 / 민족말살기에 황국신민체조 도입, 체련과, 체육의 교련화

일제강점기의 스포츠: 조선체육회(1920) / 조선체육협회 / YMCA / 손기정, 베를린 올림픽, 1936

광복 이후의 체육: 국민체육진흥법 공포(1962) / 체육부 신설(1982) / 국민체육진흥공단 설립(1989) / 문화체육관광부로 개편(2008)

광복 이후의 스포츠: 보건체육의 시수 증가 / 태릉선수촌 설립(1966) / 체력장

대한민국의 국제대회 참가사: IOC 가입(1947) / 스위스 생모리츠동계올림픽 최초 참가(1948) / 삿포로 동계아시안게임 최초 참가(1986)

프로 스포츠 발달사: 프로야구 출범(1982) / 프로씨름, 프로축구 출범(1983)

광복 이후 우리나라 최초의 금메달: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레슬링 자유형 페더급, 양정모 (광복 이전은 손기정)